본문 바로가기
산책 삶책(책과 문화)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 요약(모디머 애들러, 멘토)

by kainos 2020. 6. 22.

독서의 4 수준

  • 제1수준은 기초적인 읽기

  • 제2수준은 살펴보기 -구조

  • 제3수준은 분석하며 읽기 -개념

  • 제4수준은 통합하며 읽기 - 토론

 

2. 살펴보며 읽기

살펴보기1: 체계적으로 훑어보기 또는 미리 들여다보기

   1. 속표지나 서문을 보라. - 분야. 목적, 주제, 관점을 보여주는 부제, 분류

   2. 목차를 보라.

   3. 색인을 보라. - 용여, 책, 저자들, 중요한 색인 내용

   4. 표지에 있는 광고문을 보라.

   5. 논점의 중심이 될 만한 장을 보라.

   6. 띄엄띄엄 책장을 뒤적여 보며 골라 읽어 보라. - 본문의 마지막 부분 2-3페잊에는 저자가 요약하고 싶은 욕구가 담겨있다.

살펴보기 2: 겉만 핥아보기

  -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은 그냥 넘어가라

 

내 책으로 만드는 방법

   1. 밑줄 긋기

   2. 옆줄 긋기- 수직으로

   3. 중요표시 별표 표시

   4. 여백에 숫자쓰기

   5. 다른 페이지에 수 써 넣기

   6. 동그람치기

   7. 여백에 적어 넣기

 면지 활용- 자기 생각, 색인, 요약, 전체 구조, 기본 윤곽, 내용의 순서 등

    1, 어떤 부류의 책인가

    2. 전체적으로 무엇에 관해 이야기 하고 있나?

    3. 저자는 그 주제에 대한 개념이나 이해을 어떤 구조로 전개해나가고 있는가?

 

     —> 내용이 아니라 구조 

 

3. 분석하며 책 읽기

분석하며 읽기 1단계: 무엇에 관한 책인지 알아낸다.

   1. 책을 종류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라.

   2. 전체 내용이 무엇에 관한 글인지 최대한 간략하게 이야기해 보라.

   3. 주요 부분을 찾아 어떤 순서에 의해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파악하라.

   4. 저자가 풀어 가려는 문제를 분명하게 찾아내라

분석하며 읽기 2단계: 내용을 해석하라.

     5. 중요한 단어를 저자가 어떤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라.

   6. 가장 중요한 문장을 통해 저자가 제시하는 주요 명제를 찾으라.

   7. 저자의 논증을 문장과의 연관 속에서 구성해 보거나 찾아보라.

   8. 저자가 풀어낸 문제와 그렇지 못한 문제를 구분하고, 풀지 못한 문제를 저자도 알고 있는지 파악하라.

분석하며 읽기 3단계: 지식을 잘 전달하고 있는지 비평한다.

  A. 지성인으로서의 에티켓

    9. 책을 완전히 파악하고 해석하지 전까지 비평하지 않는다.

       (의견이 같거나 다르다고 표명하거나 판단을 보류하기 전에 확실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10. 반대한다고 트집을 잡거나 따지지 말고 조리 있게 비판하라.

   11. 어떤 비평을 하든 지식의 차원에서 하는 비평인지 개인적인 견해를 이야기 하는 것인지 명확히 구분하고 그 비평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라.

  B.  비평할 내용의 기준

   12. 저자가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을 제시한다.

   13. 저자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제시한다.

   14. 저자가 논리적이지 못한 부분을 제시한다.

   15. 저자가 분석한 내용이나 설명이 불완전한 부분을 제시한다.

   주의: 12.13.14가 반대하는 근거이다. 이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다면,

  15에 비추어 전체적인 판단을 보류하더라도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찬성해야 한다.  

 

4. 통합적인 읽기

제1과정: 연구 분야 조사 - 통합적인 읽기 준비작업

        1. 도서관 열람 카드나 책의 참고도서 목록, 다른 사람의 도움을 의뢰해 정한 주제에 대한 임시 도서목록을 작성하라.

        2. 임시 도서목록에 있는 책을 모두 살펴보고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 주제를 보다 명확히 파악한다.

     주의: 이 두 단계는 엄밀히 말해 꼭 순서가 정해져 있다고 볼 수 없다. 하니잠 두 번째 단계가 첫 째 단계를 수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2과정: 통합적인 읽기- 준비 작업에서 추려낸 도서목록 사용.

   1단계: 관련된 문단을 찾으라.

  •  특정 책을 모두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그 책을 쓴 목적과는 거리가 멀지 모르는 관계에서' 그 책이 어떻게 유용한지 알아내는 것이다.

  •  분석적 읽기가 책을 섬기고 저자가 주인이라면 통합적 읽기는 독자가     2단계: 그 단어 사용 여부에 관계 없이 대다수 저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단어들로 중립적인 용어를 설정한다. 

   2단계: 저자로 하여금 단어의 의미에 맞추도록 하라.

     - 단어의 사용 여부에 관계 없이 대다수 저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단어들로 중립적인 용어를 설정한다.    

  • 분석하며 읽기 2단계(해석)의 첫째 원칙은 저자가 사용하는 핵심어를 알아내는 것이지만 통합적 읽기에서는 독자의 언어를 사용한다.

  • 저자의 언어가 우연히 독자와 일치하여도 오히려 다른 용어를 더 사용하고 싶어지기 때문에 방해가 된다.

  • 즉 상당한 번역 연습이라 할 수 있다. 

   3단계: 질문을 명확히 하라.

     - 대부분의 저자들이 대답하고 있다고 간주되는 질문들의 틀을 만들어, 모든 저자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중립적인 명제를 설정한다.

  • 분석하며 읽기는 저자의 핵심 문장을 찾아내 저자의 명제들을 이해하는 것인 반면 통합적 읽기에서는 “중립적인 명제를 설정”한다.

  • 문제를 풀어가는데 도움이 되면서 저자가 답하는 방식과 순서로  질문을 짜야한다.

  • 은연중에 나타난 답을 찾을 수 있어야한다.

    4단계: 쟁점을 규정지으라.

    - 저자들의 대립되는 답들을 분류하여 주요 쟁점과 그밖의 쟁점들을 규정짓는다. 

  • 저자들 사이에 언제나 분명한 쟁점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저자의 주요 관심사가 아닐지도 모르는 내용에서 저자의 견해를 해석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5단계: 논의 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라.

    - 주제를 최대한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과 쟁점을 정리하여 내용을 분석한다.

  •  일반적인 쟁점을 먼저 다루고 부수적인 쟁점을 다루며 쟁점들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