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한계시록과 종말론

요한계시록 개관 - 5. 요한계시록의 구조와 주제를 알아봅니다.

by kainos 2020. 10. 15.

5. 요한계시록의 구조와 주제

 

요한계시록의 구조

요한계시록을 어떻게 문단 나누기 할 것인지, 즉 구조에 대한 논란은 학자들 사이의 골칫거리입니다.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 유일한 합의라는 우스갯말도 있을 정도로 의견이 분분합니다. 계시록은 앞에 묘사되는 내용이 저 뒤에서 이어지기도 하고, 뒤에 소개되는 내용이 앞에 언급된 내용의 반복 같기도 합니다. 내용을 근거로 단락을 나누려 해도 각각의 단락들이 앞뒤로 물고 이어지는 방식(interlocking)이라서 정확히 나뉘지 않습니다.

 

요한계시록을 논리가 정연한 바울서신처럼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미켈란젤로가 그린 시스티나 성당의 벽화처럼 거대한 그림으로 이해하는 게 좋습니다. 그림은 말이나 글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글은 논리 전개에 따라 여러 문단으로 나눌 수 있을지 몰라도 그림은 나눌 수 없습니다. 큰 벽화의 내용을 글로 표현하면 장면마다 보이는 대로 표현하겠지요. 그러면 앞뒤가 맞물리고 중복되고 논리가 분명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요한계시록은 억지로 문단을 나누는 것보다는 장면에 따라 나누는 게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계시록의 구조 분석에 대한 견해들 중에서 크게 네 개의 주제 환상으로 나누는 마이클 고먼의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고먼이 제시하는 네 환상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3장: 부활하신 주님, 말씀하신 일곱 목회 예언 메시지를 보여주는 첫 환상
4-5장: 하나님과 어린 양을 보여주는 중심부의 중심 환상
6-20장: 하나님의 심판을 보여주는 심판 환상들과 간주곡들
21-22장: 새 창조를 보여주는 마지막 환상

 

저는 이 책에서 요한계시록의 네 환상 구조로 내용을 설명하려 합니다.

첫째 환상은 1~3장에서 예수그리스도께서 요한에게 나타나셔서 일곱 교회를 향해 권면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해주시는 내용입니다.

둘째 환상은 4~5장 내용으로, 요한이 하늘 보좌실에 이끌려 올라가 천상에서 드려지는 하나님과 어린 양 예수그리스도께 드려지는 예배를 참관합니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가 봉인된 두루마리를 해제하실 권한이 있으심을 알게되는 요한계시록의 중심에 해당되는 환상입니다.

셋째 환상은 6~20장의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내용으로, 하나님이 이땅을 어떻게 심판하시고 사탄과 추종자들을 어떻게 심판하실지와 하나님의 백성들은 어떻게 보호해주실지에 관한 환상입니다.

넷째 환상은 21~21장의 마지막 환상으로 새 하늘과 새 땅으로 어떻게 만물을 회복시키시고 하나님 나라가 어떻게 임하는지에 관해 알려주는 회복 환상입니다.

 

주제

네 환상으로 구조를 분석해보면 계시록의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계시록은 그리스도로부터 온, 그리스도에 관한 계시라고 앞에서 언급했습니다. 네 환상의 주인공은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리스도가 어떤 분이시며 그리스도가 교회를 향하여 어떻게 행하시고, 그리스도가 어떻게 하늘 보좌에서 하나님과 함께 영광과 예배를 함께 받으시고, 그리스도가 이 땅의 악을 어떻게 처단하시며, 그리스도가 우주를 어떻게 회복시켜주실지를 보여주십니다.

앞에서 고먼은 계시록은 그리스도를 알기 위해서 읽어야 한다고 제시했습니다. 네 환상의 틀에 맞춰 환상이 제시하는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이렇게 정리해 봅니다.

 

네 환상과 그리스도
1~3장의 첫째 환상에서는 일곱 촛대(교회)인 교회 공동체를 붙잡고 계시면서 성령님을 통해 교회를 '권면하고 위로하시는 분'
4~5장의 중심 환상에서는 신실한 증인으로 하나님께 끝까지 충성하셨고 그로 인해 죽임당하셨으나 하나님과 함께 '섬김과 예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
6~20장의 심판 환상에서 스스로 신실하셨기에 성도들에게도 믿음을 지키고 이겨내라고 권면하시며 보호하시지만, 반면 '불순종하는 자들에게 엄중한 심판을 내리시는 분'
21~22장의 회복 환상에서 장차 새' 하늘과 새 땅에서 하나님과 함께 백성을 다스리실 분'

 

 

 

추기)

요한계시록의 구조에 관한 분석은 Mark Wilson의 『Charts on the Book of Revelation』(Kregel)의 정리가 일목요연합니다. 그에 따르면 계시록의 구조에 대한 견해는 크게 넷으로 나뉩니다.  

 

1:19 절에 근거한 삼중 구조

   1. 본 것 (과거) 1:1-20   2. 지금 있는 것 (현재) 2:1-3:21   3. 일어날 일 (미래) 4:1-22:21

 

“성령에 감동되어”라는 단어에 근거한 사중 구조

   1. 밧모섬에서 성령에 감동되어(1:9-10)

   2. 하늘에서 성령에 감동되어(4:1-2)

   3. 광야에서 성령에 감동되어(17:3)

   4. 산위에서 성령에 감동되어(21:10)

 

수미쌍관 구조

1. 서론과 인사(1:1-8)

         2. 일곱 교회(1:4-4:2)

            3. 일곱 봉인(3:21-*;5)

              4. 일곱 나팔-천사- 두 증인(8:2-11:19)

                5. 여자, 용, 어린 아이(12:1-17)

             4' 두 짐승-천사-일곱 대접(13:1-16:21)

            3' 바벨론 함락(16:18:19:10)

          2' 새 예루살렘, 신부( 19:6022:9)

1' 결론 (22:6-21)

 

7중 드라마 구조

   서론(1:1-8)

    1막 일곱 촛대(1:9-3:22)

   2막 일곱 봉인(4:1-8:4)

   3막 읽곱 나팔 (8:5-11:18)

   4막 일곱 장면(11:19-15:4)

   5막 일곱 대접(15:5-16:21)

   6막 일곱 심판(17:1-20:3)

   7막 일곱 약속(20:4-22:5)

   결론(22:6-21)

 

삼중 구조에서 과거, 현재, 미래의 연대기적으로 분류하는 방식은 세대주의 종말론에 많이 이용됩니다. 반면 삼중 구조를 장면에 따라 나누는 David L. Barr(Tales of the Ends, A narrative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Polebridge press)의 견해에 따른 분석은 이렇습니다.

1~3장, 장소는 밧모섬, 등장인물은 예수님, 요한, 일곱 교회

4-11장, 장소는 하늘, 등장인물은 죽임당하신 어린 양, 장로들, 하늘의 천사들

12~22장, 장소는 땅, 등장인물은 전투하시는 예수님, 용과 짐승들, 여자와 아이

 

계시록의 구조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견해로는 계시록을 7중 드라마 구조로 보는 견해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얼 웨슬리 모레이의 『요한계시록으로 배우는 귀납적 성경 연구』를 보시면 됩니다). 계시록을 드라마로 볼 수 있는 근거로는 이렇습니다. 당시는 헬라 연극의 영향으로 도시마다 대형 극장이 있을 정도로 보편적인 문화 활동이어서 익숙하고 효과적인 전달 방식이었다는 점, 헬라 연극의 특징인 노래, 말, 몸짓으로 구성된 합창단, 동물 가면의 배우 등의 방식이 계시록에서도 등장한다는 점, 장면의 변환을 지시하는 “내가 보니”라는 표현의 반복,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표현하는 여러 효과적인 요소들과 전형적인 드라마 구조인 7막 7장의 구조에 맞아 떨어진다는 점을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한계시록의 구조에 대한 빌의 견해는 일곱 단락이나 여덟 단락으로 나누는 것이 가장 좋지만, 7중 및 8중 구조는 모두 사중 구조의 부차적인 구분이라고 말합니다. 이 견해에 동의해서 저는 네 환상으로 보는 4중 구조를 지지합니다.

참고로 매튜 에머슨(십자가와 보좌사이)도 네 환상 즉, 교회가운데 서 계신 그리스도, 하늘 보좌실에서의 천상 예배, 믿지 않는 자를 향한 심판, 종말적 전쟁과 새 창조의 넷으로 구조를 분석하지만, 방식이 약간 차이납니다. 그의 분석은 고먼의 분석과 달리 넷째 환상에 최후의 전쟁을 포함해 심판과 회복이라는 주제로 나누기보다는 현재와 종말의 시기라는 시간적 분류를 적용한 점이 다릅니다. 저는 고먼의 주제에 따른 분류가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내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매튜 에머슨의 구조 분석을 좀더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환상- 부활하시어 교회 가운데 서 계심으로 시작, 일곱 교회를 향해 굳건히 서라고 권고(1-3장)

둘째 환상- 하늘 보좌실로 이끌려 예배를 목격, 죽임당한 어린 양이 두루마리를 펼치기 합당하신 분임을 알게됨(4-5장)

셋째 환상- 믿지 않는 자를 심판하시며 자기 백성을 보호하심(6장-19:10)

넷째 환상- 최후의 전쟁, 최후의 심판과 새 창조(19:11-22장)